본문 바로가기
IT

반야심경 독송 및 원문 해석

by 한숨은 이제 그만 2020. 11. 30.



본인이 현재 불교를 믿고 있는 분들이라면, 그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의 불경을 볼꺼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 와중에 알려져 있는 것이 반야심경이라고 하는 것인데요. 이는 대승불교의 깊은 진리를 함축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경전입니다. 당나라 시절 현장 법사라는 분이 한문으로 번역하여 처음 전래를 시켰는데요. 이때 이것의 독송을 듣거나 혹은 원문을 해석해보고 싶은 분들이 있는것 같아서 한번 알아봤습니다.





이런 반야심경 같은 경우 기본적으로 석가모니가 반야심경의 내용을 설파한 계기, 그리고 장소 및 설해진 후의 결과 등이 다 써져있는 광본이 전문이지만, 대부분은 핵심 부분만 부르게 됩니다. 티베트는 이 내용을 다 독송한다고 하네요.




짧으면서도 의미가 있고, 대승불교 의식을 비롯해서 대부분의 법회의식에서 독송이 됩니다. 또 그렇게 보편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구절이 알려지기도 했어요. 색즉시공 공즉시색이나, 아제아제 바라아제 등이 알려져 있죠.




2011년 9월 20일 자로 해서 조계종 187회 중앙총회에서 종단표준의례 한글반야심경 동의안을 처음 가결을 시켰고 그 뒤에 10월 5일에 공포가 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최근에 한국어 기준은 그것을 인용한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되요.




이것의 한국인 주석서로는 신라시대에 있었던 원측의 반야심경소와 함께 원효 혹은 태현의 반야심경고적기와 반야심경주라는 것이 있습니다. 원래는 현존했던게 원측의 반야심경소 뿐이였지만, 얼마전에 원효의 것이 복원 되었다고도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다양한 버전의 반야심경 독송과 함께 가사 해석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첫번째로는 기본적으로 알려진 영인스님에 반야심경 내용입니다. 이곳(바로가기)으로 가신 다음에 '영상 설명' 부분에서 '더보기'를 누르면 한글로 해석된 내용 역시 있습니다.








다음으로 원순스님이 반야심경을 쭉 해석한 강의가 있습니다. 약간 해설 식으로 쭉 풀어서 알려주는 것 같네요. 40분 정도로 되어 있으니 시간이 나면 쭉 듣는 것이 좋을 꺼 같네요.



댓글